음식여행

식품의 감성 요소가 소비에 미치는 영향

에코여행 2021. 11. 19. 09:08
반응형

라이프 스타일의 다양한 변화와 정보 및 기술의 발달 소득 증가 등의 이유로 소비자들의 니즈와 가치는 증가하고 다양해지며 이에 따라 제품의 새로운 기능 서비스 디자인 등을 반영한 다양한 상품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소비자들의 소비 결정

소비자들의 소비 결정과 구매 성향은 제품의 기능과 특징 편리함 등의 기능적인 측면에서 제품의 자신만의 감성이나 성향 즐거움과 이야기 등의 감각적인 측면의 성향으로 바뀌어 가고 있고 이에 기업에서도 제품에 기능적 측면에 이어 제품에 감성 이야기 등을 추가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기업은 성장 가능성과 매출 증대 등으로 이어가고 소비자들은 더욱 원하는 제품의 구매 기회가 많아지며 제품을 통해 가치를 실현하고 만족감을 높일 수 있으며 소비자들은 자신의 여가 생활 소비 결정과 구매 행동 등을 통해 자신의 만족을 충족하고 있고 이를 반영하여 많은 기업에서는 기업만의 차별화된 제품이나 서비스 다양한 마케팅 활동을 펼치고 있고 기업에서 과거 브랜드의 의미는 단순히 기업을 나타내는 의미였다면 브랜드의 의미는 점차 확장되어 브랜드를 통해 기업의 가치관을 나타내기도 하며 소비자와의 관계를 장기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경쟁사와의 구별도 가능한 가운데 소비자들은 브랜드의 이미지에 따라 제품을 구매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심리적 차별화로 인한 욕구 충족 또한 가능하다.

 

소비 사회에서 기업의 경쟁력 강화

급변하는 사회에서 기업은 경쟁력을 키우기 위해 다양한 신제품들을 출시하고 있으며 신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사고와 소비 결정 구매 행동 등과 같은 평가를 통해 구매율을 더 높이고 재구매로 이어 갈 수 있으며 이를 보완한 다양한 제품 등을 통해 기업은 발전할 기회가 되고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식품의 시각적 감성 요소 언어적 감성 요소가 적용된 제품이 브랜드 선호도와 신제품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연구하며 소비자들의 다양한 제품의 기회와 만족감을 높이고 기업의 마케팅 전략과 자료 제공에 목적이 있고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이론적 고찰과 설문지를 구성하였으며 실증분석을 위해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2020년 5월 1일부터 2020년 5월 10일까지 약 40부의 예비조사를 진행하여 신뢰도를 확보하였으며 예비조사를 토대로 2020년 7월 1일부터 2020년 7월 31일까지 31일간 본 조사를 수행하였고 통계청 자료를 기반으로 한 경제활동 인구 중 소득이 가장 높은 연령인 20~50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360부를 회수하여 통계 측정이 불가능한 불성실 응답 15부를 제외한 345부로 분석을 시행하였고 자료의 분석은 spss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요인과 변수 간의 빈도 분석 신뢰도 분석 요인 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가설 검증은 다중회귀 분석을 사용하였고 독립변수인 감성 요소는 시각적 언어적 요인으로 구성하였으며 종속변수로는 브랜드 선호도와 신제품 평가이며 설문지 문항은 감성 요소 12문항 브랜드 선호도 6문항 신제품 평가 5문항 브랜드 선호도에 따른 신제품 평가 4문항 인구통계학적 문항 5문항 총 32문항으로 구성하다.

 

식품의 감성이 소비에 미치는 영향

먼저 식품의 언어적 감성 요소와 시각적 감성 요소 모두 소비자들은 흥미와 관심을 보이며 그중 시각적 요소에 더 흥미와 관심을 보이며 언어적 감성 요소와 시각적 감성 요소 두 요인 모두 브랜드 선호도 영향을 미쳤으며 그중 언어적 감성 요소(β=0.332)보다 시각적 감성 요소가(β=0.423)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언어적 감성 요소와 시각적 감성 요소 두 요인 모두 신제품 평가에 영향을 미쳤으며 그중 언어적 감성 요소(β=0.340)보다 시각적 감성 요소(β=0.379)가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며 연령대별 관심과 호감의 평균 비교 결과 대체로 50대가 감성 요소 브랜드 선호도 신제품 평가에 관심과 흥미를 보이며 언어적 감성 요소 및 브랜드 선호도 신제품 평가는 50대가 가장 호감과 관심을 보이며 시각적 감성 요소는 20대가 가장 호감과 관심을 보이며 그다음 50대가 관심과 흥미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 감성이 소비에 미치는 의의

먼저 식품에 적용된 언어적 감성 요소와 시각적 감성 요소를 조작적 정의하였으며 선행연구와 이번 연구 결과를 토대로 식품에 적용된 언어적 감성 요소와 시각적 감성 요소의 효과를 지정하였고 감성 요소가 적용된 식품의 소비자 반응을 살펴보았으며 감성 요소의 전반적인 평가를 제시함으로써 외식사업에 개발을 위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의의가 있으며 소비자들은 언어적 감성 요소와 시각적 감성 요소의 중 시각적 감성 요소에 더 흥미와 관심을 보였으며 이는 식품 이외의 타 산업 분야 선행연구와도 같은 결과를 보이며 향후 감성 요소의 효율적인 방안을 제안하였다고 할 수 있는데 이처럼 감성 요소를 적용한 식품은 기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소비자들의 특징에 적합한 소비 성향을 파악하며 제품의 특징을 부여하여 소비를 촉진할 수 있어 이에 맞는 마케팅 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하며 감성 요소를 추가한 제품을 통해 기업의 발전 성장과 제품의 다양한 측면의 접근과 개발에 기여하는데 의의가 있다.

 

출처 Freepic

 

* 참조문헌 : 식품 감성 요소가 브랜드 선호도와 신제품 평가에 미치는 영향 (배현진 20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