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여행

서울 시민은 밥을 잘 먹고 다닐까?

에코여행 2021. 11. 19. 15:12
반응형

 

출처 Freepic

 

경제 발전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변화

경제 발전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변화는 도시화 핵가족화 여성 취업의 증가 외식산업의 발전 등으로 식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영양소 섭취의 불균형은 만성퇴행성 질환을 증가시키고 있고 이에 우리나라도 국민의 건강증진을 위해 만성질환을 예방하고 건강한 생활습관 개선을 위한 건강증진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국민건강증진 종합계획 2010에 영양 목표를 포함하여 건강증진 정책을 수행하고 있고 본 연구는 국민건강증진 종합계획 2010의 영양부문 17개 목표 중 식품 및 영양소 섭취 분야 지표인 에너지 미량 영양소 과일·채소군 섭취량에 따른 4개 관련 목표에 대한 성 연령 교육 수준 경제 수준 만성질환별 대상자 분포와 영양소 식품군 음식 군 섭취 수준을 비교하기 위하여 2001년 조사된 서울지역 대상자의 식생활 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였고 1988년부터 2005년까지 국민영양조사 및 국민건강 영양조사 결과를 재분석하여 서울시의 영양소 및 식품군의 변화 추이를 비교하였으며 SPSS 12.0 통계 패키지를 활용하여 그룹 간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X2-test t-test 및 one-way ANOVA와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실시하였고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민의 식품 및 영양 섭취 양상을 분석하여 영양문제 해결을 위한 대상별 특성과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고 서울시 영양문제 모니터링의 기초 지표 제공과 정책 추진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서울 시민의 에너지 섭취 현황

연구결과 서울시민의 에너지 섭취량의 증가는 둔화되고 곡류 및 그 제품을 제외한 식물성 식품 섭취량 동물성 식품 섭취량의 증가로 총 식품섭취량은 증가되고 있었으며 특히 비만의 원인이 되는 지방 섭취량은 전국 평균보다 높고 꾸준히 증가추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1998년 이후 음료 및 주류 섭취량도 계속 증가하여 식품군별 섭취량에 있어 곡류 채소류 과일류 다음으로 4위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단백질이나 지방 섭취에 있어서 동물성 식품의 비율 또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998년과 2001년 서울지역의 영양소별 섭취량은 단백질 당질 조섬유 비타민 B1 비타민 B2 나이아신 칼슘 철 소듐이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으며 탄수화물과 단백질 그리고 지방의 에너지 섭취비율과 비타민 A의 섭취량은 고혈압 및 골다공증과 관련이 있었으며 소듐(sodium) 섭취량은 비만과 골다공증에 과일·채소·김치류 섭취량은 고혈압과 암에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서울시민의 영양소 섭취 습관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의 에너지 섭취비율 수준은 남 여 모두 경제수준과 교육 수준에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65세 이상에서 교육 수준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한국인의 대표적인 부족 미량 영양소인 비타민 A 리보플래빈 섭취량의 경우 1-6세와 7-12세는 경제 수준 여자와 65세 이상은 교육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으며 소듐 섭취의 경우 목표(2000mg)에 비하여 2배 이상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자가 여자보다 높았고 연령과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소듐 섭취 경향이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과일·채소·김치류 중 김치류 섭취가 총섭취량의 25%를 차지하며 연령이 높을수록 김치류 섭취가 높았고 1-6세는 경제 수준이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 수준과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나타냈다.

 

서울시민의 영양 섭취에 관한 결과

본 연구 결과 과일류 및 채소류 섭취 증가를 위한 사업 대상으로는 경제수준이 취약한 가정의 미취학 아동 남자 청소년과 65세 이상 노인층이 고려되어야 하며 에너지 및 지방 섭취 과잉으로 인한 비만의 문제는 20-39세 성인층과 남자 청소년을 대상으로 65세 이상 노인층은 단백질과 칼슘 섭취 부족을 해결할 수 있는 사업 대상으로 소듐 섭취 감소와 미량 영양소 섭취 증가를 위한 사업은 전 연령층을 대상으로 한 인식 개선 홍보와 함께 식사습관 개선을 위한 다양한 영양개선사업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고 아울러 건강에 위험요인이 되는 식사 위험요인이 영향을 받는 경제 수준 교육 수준에 따른 대상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사업의 내용과 전략도 결정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참조문헌 : 서울시민의 식품 및 영양 섭취 양상 분석 (장영주 200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