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형태의 온라인 식품 유통 채널
소셜커머스의 탄생
소셜커머스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SNS Social Network Service)를 매개로 소비자들의 상거래 경험을 서로 공유하도록 플랫폼을 개방함으로써 소비자의 참여를 증가시킨 상거래의 형태를 의미하는데 소셜커머스(Social commerce)라는 용어는 2005년 야후의 장바구니(PickList) 공유 서비스인 쇼퍼 스피어(Shoposphere) 같은 사이트를 통하여 처음 소개되었 으며 2008년 미국 시카고에서 설립된 온라인 할인쿠폰 업체 그루폰(Groupon) 이 공동구매형 소셜커머스의 비즈니스 모델을 처음 만들어 성공을 거둔 이후 유통채널 통합 환경에서의 패션 제품 가격 프로모션 효과 본격적으로 알려지기 시작하였고 특히 스마트폰 이용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이 대중화되면서 새로운 소비 시장으로 주목받고 있다.
소셜커머스의 장점과 단점
소셜커머스는 기존 전자상거래에 비해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킬 수있는 제품 및 서비스의 범위는 한정적이지만 최소 구매 인원 충족 시 제공되는 파격적인 가격 할인 혜택을 바탕으로 구매를 원하는 소비자가 SNS를 통해 지인 및 다른 SNS 사용자를 구매에 참여시키는 구전효과를 전략적으로 활용하는 비즈니스 모델이라고 할 수 있으나 기존의 공동구매 사이트와 원어데이몰이 공산품을 주로 판매한 반면 소셜커머스 사이트들은 소비자가 직접 찾아가야 하는 음식점 공연 등의 서비스 상품을 주력으로 한다는 점이 다르고 서비스 상품은 공산품과 달리 직접 경험하기 전까지는 품질을 가늠할 수 없고 매장 분위기나 친절도와 같은 부수적인 요소가 크게 작용한다는 특징이 있는데 소셜커머스는 여러 수요자가 온라인을 통해 집합하여 구매한다는 공동구매와 가장 가까운 형태의 전자상거래로 볼 수 있고 공동구매라 함은 소량을 구매하는 소비자들이 모여 구매물량을 공급업체와의 구매력을 높이고 이를 통해 구매 가격을 낮춰 비용을 절감하는 구매방식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오픈마켓
오픈마켓이란 온라인상에서 개인 또는 소규모 업체가 운영하는 점포를 통해 소비자에게 직접 상품을 판매하는 전자상거래 사이트를 총칭하는데 홈쇼핑이나 백화점 또는 대형마트 업체 등이 운영하는 일반적인 인터넷 쇼핑몰과 달리 오픈마켓은 제품 생산업체와 판매자 간의 중간 유통마진 없이 직접 구매 자에게 제품을 판매할 수 있기 때문에 상품 가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즉 오픈마켓 이란 다수의 판매자와 소비자가 인터넷이라는 매개체를 통해 온라인상에서 거래 할 수 있도록 구축한 전자적 가상시장을 의미하고 판매자와 구매자에게 모두 열려 있는 인터넷 중개몰(온라인 장터)을 말하며 개인과 소규모 판매기업 등이 온라인에서 자유롭게 상품을 거래할 수 있으며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중간 유통마진을 생략할 수 있어 기존의 인터넷 쇼핑몰보다 비교적 저렴한 가격대로 물품 공급이 가능하고 G마켓 옥션 인터파크 등이 대표적 오픈마켓이며 이들은 플랫폼을 제공한 대가로 상품을 등록한 사용자로부터 수수료를 받는데 판매자와 구매자 간의 직거래 장터이기 때문에 매매 과정이 신속하고 진출 1년 만에 등록 상품 수가 2500만 개로 늘었으며 직매입 사업은 최근 급성장하는 모바일 장보기 시장 확대에 힘입어 매년 40%가 넘는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오픈마켓의 대표적인 국내 사이트로 옥션 11번가 G마켓 인터파크 등이 있다.
배달 앱
현재의 외식업 배달서비스는 기존의 편리함에 다채로운 요인을 더하면서 소비자들의 중요 소비 수단으로 자리매김하고 있고 배달 서비스는 소비자가 원하는 곳에서 식사를 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이며 기존의 피자나 족발 치킨과 같이 한정되었으나 소비자들의 수요 증가로 많은 외식업체에서 차별화된 서비 스를 제공함으로써 배달 시장은 점점 고급화 다양화되었고 이에 최근 외식 업체의 배달 서비스는 단순한 배달 속도 경쟁이 아닌 서비스 질의 경쟁이 더해지면서 배달 제품의 속성과 소비자들의 니즈에 맞춘 차별화된 배달 서비스가 모색되고 있고 포장기술의 식품 가공과 보관의 발전으로 배달 서비스 시장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함께 배달의 개념이 그동안의 전통적인 배달 개념에서 스마트폰 모바일을 통해 간편하게 주문할 수 있는 배달로 변화하고 있으며 배달앱은 업체의 주문배달 서비스로서 소비자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소비자 주변의 음식점을 쉽게 찾게 해주는 서비스로 변화되고 소비자의 실시간 검색으로 정보를 제공하고 외식기업에 연결까지 도와주는 프로그램이다.
초기 배달앱의 운영
초기 배달앱은 스마트폰을 매개로 소상공인과 소비자를 연결하여 전단지를 통해 다양한 음식점 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음은 물론 주문량과 다른 이용자 들의 이용 후기 등 참고 가능한 추가 정보 제공으로 호응을 얻었으며 일방적 으로 메시지를 전달하던 기존 지역 음식점 광고의 프레임이 변화하여 이와 더불어 정교화된 위치기반 기술로 이용자의 위치가 변화하여도 그에 맞춘 정보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프로그램을 말하며 요기요 배달통 배달의 민족 등의 기업에서 운영하는 형태를 말한다.
* 참조 문헌 : 온라인 식품 유통채널의 특성이 SNS몰입도에 따라 소비자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형수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