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노인환자의 식품 선호도

에코여행 2021. 11. 22. 22:34
반응형

주식에 대한 선호도

주식류(밥·면·떡국·죽류)의 선호도를 복수응답으로 조사한 결과 남녀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대상자들이 선호하는 밥과 밥의 된 정도에서는 남녀 모두 잡곡밥(54%)을 쌀밥(40%) 보다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밥의 된 정도는 진밥이 49% 상관없음이 24%로 남녀 모두 진밥을 가장 선호하였고 이는 한국노인의 식품 선호도에 관한 설문조사에서 여자의 경우 잡곡밥을 선호한다는 결과와 같았지만 요양병원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조사한 설문조사에서 흰밥을 보통 정도의 된 정도로 선호한다는 결과와는 달랐다.

 

면과 떡에 대한 선호도

선호하는 면·떡국류에서는 전체적으로 잔치국수가 21.9%로 선호도가 가장 높았고 떡국(18.6%)> 기타(10.5%)> 냉면(10%)> 수제비(9%)> 칼국수 (8.6%)> 비빔국수(6.7%)> 만두(6.2%)> 우동(5.2%)> 중국식 면류(3.3%)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선호하는 죽류에서는 전체적으로 녹두죽이 18.6%로 가장 선호 도가 높았고 팥죽(17.6%)> 호박죽(16.3%)> 전복죽(14.9%)> 잣죽(12.2%)> 기타(10.9%)> 야채죽(9.5%) 순으로 나타나며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같은 내용을 조사한 선행 설문조사에서도 잔치국수와 팥죽의 선호도가 가장 높았고 본 설문조사와 동일한 결과였는데 이는 잔치국수처럼 자극적이거나 맵지 않고 팥죽처럼 달고 부드러운 맛은 노인들이 옛날부터 잔칫날과 동짓날에 주로 먹었던 향수의 맛과 연관이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국과 찌개에 대한 선호도

대상자들의 국과 째개류에 관한 선호도를 복수응답으로 조사한 결과 남녀 모두 찌개(32%)보다 국(68%)을 더 선호하였고 남녀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던 반면 선호하는 국으로는 남녀 모두 된장국을 선택하였는데 유의적이지는 않지만 남자 노인(74%)이 여자 노인(54%) 보다 더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고(p=0.056) 그다음으로는 맑은 국과 고깃국 해물 국을 선호하였고 맵고 자극적인 고추장 국은 선호도가 가장 낮았으며 대상자들이 선호하는 찌개류에서도 남녀 모두 된장찌개를 36.8%로 가장 많이 선호하였고 남녀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선호하는 찌개류로는 순두부찌개(17.4%)> 청국장찌개 (13.4%)> 김치 찌개(12.1%)> 새우젓 찌개(9.7%)> 부대찌개(5.3%) 순으로 나타났고 생선찌개는 4.5%로 가장 적은 선호도를 보였으며 이는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같은 내용을 조사한 선행 설문조사와도 비슷한 결과였다.

 

육류와 조리법에 관한 선호도

대상자들의 육류와 그 조리법에 따른 선호도를 복수응답으로 조사한 결과는 전체적으로 쇠고기의 선호도가 30.2%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닭고기(27.4%)로 나타났으며 남녀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선호하는 쇠고기 조리법에서는 남녀 모두 장조림이 37%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전골(6%)을 선호했고 돼지고기 조리법에서는 남녀 모두 찜이 37%로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그다음으로 수육(24%)을 선호하였고 닭·오리고기 조리법에서는 백숙의 선호도가 28%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튀김(20%)을 선호했고 이는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동일한 내용을 선행 설문 조사한 내용에서 가장 높은 육류의 선호도는 쇠고기로 본 설문조사와 같은 결과였지만 조리법으로는 구이와 찜의 선호도가 높았던 것이 본 설문조사와 차이가 있었지만 선호하는 닭의 조리법에서 백숙은 본 설문조사와 같은 결과를 보였다.

 

생선의 조리법에 관한 선호도

대상자들의 생선과 해산물류와 그에 따른 조리법의 선호도를 복수응답으로 조사한 결과는 남녀간에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며 전체적으로 흰 살의 부드러운 생선류를 선호하였고 갈치가 14.7%로 선호도가 가장 높았으며 그다음으로 조기가 12.8%로 나타났다. 선호하는 생선 조리법에서는 남녀 모두 구이의 선호도가 43%로 가장 높았다. 선호하는 해산물류에서는 오징어가 20.1%로 가장 높았고 주꾸미가 16.4%로 나타났으며 조리법에서는 통계적으로 남녀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고 있었는데(p <0.05) 남자는 조림이 25%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국·찌개·탕 (20.8%)과 회(12.5%)로 나타났으나 여자는 국이 25%로 가장 높았고 조림과 튀김(20.8%) 순으로 나타났다. 생선의 선호도는 선행 설문조사 결과인 조기 갈치구이로 결과가 비슷했고 해산물의 선호도에서는 본 설문조사와 다른 결과를 나타냈지만 선호하는 조리법에서는 국·찌개·탕으로 같은 결과를 보였다.

 

채소류와 조리법에 관한 선호도

대상자들의 채소류와 그 조리법에 따른 선호도를 복수응답으로 조사한 결과는 남녀간에 유의적 차이는 없었고 전체적으로 쌈채소류인 상추의 선호도가 14.6%로 가장 높았고 그다음으로 배추(10.3%)> 호박·가지 (7.8%)> 오이·깻잎(7.3%)> 열무(7.1%)> 시금치(6.4%)> 콩나물(5.7%)> 무 (5.5%)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조리법에서는 부드럽게 익힌 숙채의 선호도가 41%로 가장 높았고 시금치를 가장 선호하는 채소로 조사된 설문조사와는 다른 결과를 나타냈지만 조리법에 따른 선호도는 숙채로 같은 결과를 나타냈으며 이는 저작기능이 약한 노인층에서 삶기의 조리법을 선택함으로써 부드럽게 씹혀 소화가 잘 되기를 원하기 때문으로 생각한다. 김치류에 관한 선호도 대상자들의 김치류에 대한 선호도를 복수응답으로 조사한 결과는 남녀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고 전체적으로 동치미의 선호도가 22.1%로 가장 높았으며 그다음으로 백김치 20.1% 나박김치 13% 순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인 배추김치와 순서는 다르지만 비슷한 결과를 나타냈다. 노인들은 배추김치나 깍두기 등과 같이 맵고 그 질감이 딱딱한 김치와 달리 국물과 같이 먹을 수 있고 비교적 담백하고 자극적이지 않는 김치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생각한다.

반응형
댓글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