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소비자태도의 개념
소비자태도란 실제로 이어지는 행동에 영향을 미치게 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소비자태도를 특정한 행동을 하려는 의도라고 정의하였고 어떤 대상에 대하여 긍정적 권유나 추천 의도 지속적인 이용 및 이용 확대 등 추후 최우선적인 행동을 하려는 의도라고 설명하였으며 서비스나 제품에 대하여 소비자가 갖게 되는 구매하기 전·후의 경험이나 지각된 감정을 바탕으로 앞으로의 행동을 계획하거나 수정하려는 개인의 주관적 신념이나 의지라고 정의하면서 태도의 개념을 넓게 해석하는 구조적 접근법은 태도를 지각적 측면에서 어떤 대상물에 대해 감지하고 있는 개인의 내적 상태로서 그 대상물에 대해 반응할 준비가 되어 있는 정서적 심리상태라고 정의하며 즉 이들은 태도의 범주를 특정 대상물에 대한 감정뿐만 아니라 지각이나 행동반응 성향까지도 포괄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접근법을 종합하면 태도는 특정 대상에 대한 지각 감정 행동의 측면을 포함하여 그 과정은 특정대상물에 대한 개인의 신념(느낌)이 태도(감정적 또는 정서적 측면)에 영향을 미치며 그 태도로 인해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소비자태도의 선행조사
소비자태도의 조사는 많은 조사자들에 의해 진행되고 있으며 소비자태도의 선행조사를 살펴보면 상품에 대해 소비자들이 인터넷을 통해 상품의 의견을 교환할 수 있으며 많은 사이트와 기업 웹사이트의 비교를 통해 자유로운 의사소통뿐만 아니라 많은 정보 습득이 가능해지면서 높은 신뢰를 보이며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고 제시하였고 SNS 내의 소비자태도에 관한 조사를 살펴보면 개인을 존중하지 않거나 간섭하는 전통적인 광고 방식에 대한 반발로 소셜 웹이 성장하였다고 하면서 소비자는 대화를 기반으로 신뢰를 구축하여 개인끼리 연결되어 소통하며 많은 정보도 교환하기를 바란다고 하였고 브랜드 이미지 선호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조사에서 선호도란 특정 대상에 대하여 호의적인 태도가 일정 기간 동안 지속될 때 나타나는 개념으로 특정 브랜드를 선택하고자 하는 의지의 표현이라고 제시하였고 서비스 제공 관련자 들은 기업의 긍정적 성공을 위하여 기존 고객의 이탈 방지 및 구매의도와 충성도를 높이기 위해 충분한 노력이 필요하며 성공적인 정보 시스템은 장기적인 생존능력 지속적인 정보시스템 이용은 소비자와 많은 전자상거래 기업 간의 생존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고 제시하였다.
SNS 경험이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
SNS 사회적 자본이 여행경험 구전 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사에서 SNS를 통해 형성된 사회적 자본이 댓글이나 좋아요의 수와 같은 여행 경험 구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고 제시하였고 상호작용 영향요인과 소비 자의 정보 구전 의도에 대한 조사에서 SNS 내에서의 정보 구전 의도는 SNS 내에서 상호작용을 얼마나 많이 하느냐에 영향을 받으며 모바일 기기로 SNS를 이용하는 것이 구전 의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제시하였고 광고 범주와 정의에 관한 재고 조사에서 인터넷 보급이 확산되면서 새로운 정보나 사실은 언제나 알 수 있기 때문에 타인의 의견이나 느낌을 더 얻고 싶어 한다고 제시하였고 소셜 미디어 상의 신제품 관련 인터넷 언급이 주가에 미치는 영향조사에서 휴대폰 신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온라인 구전이 기업의 주가 형성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제시하였고 외식소비자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SNS) 이용에 관한 조사 조사에서 SNS에 적극적 또는 수동적으로 참여하는 소비자 모두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적극적으로 참여할수록 더 높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친다고 제시하였으며 TV 홈쇼핑 채널에서의 희소성 메시지에 따른 구매의도 조사에서 소비자가 희소성 메시지를 접하게 되면 구매의도가 강해진다고 하였다. 이처럼 소비자태도는 유통채널과 여러 조사자들에 의해서 온라인 쇼핑 또는 온라인 식품 유통채널에서의 이용행위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제시하고 있고 또한 구매의도는 소비자태도를 측정하기 위한 하나의 차원이며 소비자태도는 선호도와 구매의도에서 기인하기 때문에 선호도와 구매의 도를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 참조문헌 : 온라인 식품 유통채널의 특성이 SNS몰입도에 따라 소비자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형수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