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출처 : Freepic

 

토복령의 효과

 

WST assay를 통해 토복령 메탄올 (Smilax china methanol extract SCME)이 세포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는데 100 μg/ml 까지는 세포 생존율에 큰 변화가 없었고 150 -300 μg/ml 까지는 약간의 감소를 보였으며 500 μg/ml 에서는 74%의 세포 생존율을 보여 83%의 세포 생존율을 보인 300 μg/ml까지의 농도로 실험을 수행하였고 이를 통해 SCME의 3T3-L1 preadipocyte의 adipogenesis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SCEM의 농도에 따른 지방세포 분화 억제 능이 있었고 Oil Red O staining 결과 염색된 지방의 수가 감소되었고 염색된 지방을 추출하여 triglyceride 생성량의 정도를 측정한 결과 농도 의존적 감소를 보였고 300 μ g/ml 농도의 처리에서 억제 능이 43.3%로 나타났다.

 

토복령의 중성지방 제거능

 

한편 중성지방 제거 능을 알아보기 위해 lipolysis activity assay를 통해 분석하였는데 지방세포에 토복령 추출물을 처리한 결과 세포 내 축적되어 있던 중성 지방이 분해되어 방출된 glycerol의 양이 증가되었으며 Oil Red O staining을 통해 triglyceride 양을 측정한 결과 glycerol의 양과 triglyceride의 양이 비례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중성지방 제거에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고 WST assay를 통해 토복령 잎 에탄올 추출물 (water-soluble fraction of Smilax china L. leaf ethanol extract wsSCLE) 의세포 생존율을 분석한 결과 0 - 0.25 mg/ml의 농도까지 세포생존율의 큰 변화가 없기 때문에 실험 농도 구간을 0 - 0.25 mg/ml 까지로 설정하였고 또한 중성지방 축적 억제 능 알아보기 위해 Oil Red O staining를 통해 53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결과 0.1 mg/ml에서 0.64로 나타나며 농도에 따라 중성지방 축적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핑거루트 (Boesenbergia pandurata)의 효능 핑거루트 에탄올 추출물 (Boesenbergia pandurata ethanol extract BPE)가 지방세포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cell proliferation kit I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그 결과 세포 생존율의 영향이 거의 없는 환경에서 AdipoRed reagent로 지방 축적을 확인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지방 전구세포의 증식도 농도에 따라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항비만 효과를 실험하기 위해 C57BL/6J 마우스에 고지방식이와 BPE를 첨가한 사료를 공급하였고 실험동물은 정상식이군 (Normal Diet ND)과 고지방 식이군 (High Fat Diet HFD)으로 나누어 고지방 식이군은 음성 대조군 (HFD)과 고지방식이에 핑거루트 에탄올 추출물 0.5 %를 첨가한 BPE 보충군 (HFD-BPE)으로 구분하였고 각 마우스들은 8주 동안 620 mg/kg/day를 섭취하였고 실험이 완료되었을 때 마우스의 체중은 유의적인 감소가 있었고 동물의 희생 후 부고환 (epididymal) 지방의 무게를 확인하였는데 ND군은 HFD군에 비해 HFD-BPE군의 부고환 지방의 양이 26.8% 감소함을 알 수 있었으며 부고환 지방의 조직학적 검사를 통해 지방세포의 크기가 감소하고 이에 따라 지방조직의 무게가 감소하였음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에탄올 추출물이 세포 생존에 미치는 영향

 

에탄올 추출물 (Euptelea pleiosperma ethanol extract EPEE)가 preadipocyte의 세포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WST assay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그 결과 농도 증가에 따른 약한 세포 증식 억제를 보였지만 세포 독성은 유발하지 않았으며 EPEE가 MDI로 유도한 preadipocyte의 adipogenesis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Oil Red O staining을 하였을 때 농도의 증가에 따라 지방세포의 분화가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50 μg/ml 이상의 농도에서 강한 억제활성을 보였고 염색된 지방의 양이 급격히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더 나아가 EPEE의 생성된 지방세포의 제거에도 효과가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lipolysis activity assay를 통해 분석하였고 MDI로 분화시킨 지방세포에 EPEE를 처리한 결과 중성지방의 분해를 통해 방출된 glycerol의 양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고 triglycerol의 양을 정량 분석한 결과 배지에 방출된 glycerol의 양과 세포 내에 남아있는 triglycerol의 양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나 EPEE가 농도 의존적으로 축적된 중성지방을 제거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응형
댓글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