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친환경 식품 구매 행동의 개념
구매행동은 선호하는 대안을 획득하는 것으로 정의되며 일반적으로 소비자는 제품에 대하여 호의적인 태도를 가질수록 그 제 품을 구매할 가능 성이 높았고 마케팅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소비자의 행동임에도 불구하고 기존 연구에서 태도나 구매의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연구를 그치고 있고 이는 실제 구매행동을 측정하는 연구방법의 한계이기도 하지만 의도와 행동을 동일시하는 개념을 연구자들이 암묵적으로 받아들이는 데에도 원인이 있다고 할 수 있고 소비자들은 특정한 제품 및 서비스 구매 여부를 결정할 때 그 제품 자체에 대한 태도보다는 제품을 구매하려고자 하는 의도가 더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하였고 실제 구매 행동을 개인이 특정한 제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려고자 하는 준비 상태 및 의향으로 정의하였고 친환경 식품 구매 행동(environment-friendly goods purchase behavior)은 소비자가 환경 친화적으로 생산된 제품을 구입하는 행동을 일컫는다.
구매행동의 특징
구매행동은 특정 제품에 국한시키지 않고도 통합 적인 시각으로 생활양식과의 관계로 파악되며 소비자의 구매행동은 제품 특성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난다는 점을 알 수 있고 또한 Weiner and Doescher(1991) Berger and Corbin(1992)의 연구에 서는 효과성 지각 수준이 높은 소비자는 자신이 환경 문제 해결을 기여할 수 있다고 생각함으로 인하여 친환경 제품의 구매행동이 높아진다고 설명했고 소비자 효과성 지각과 구매행동과 관련하여서 조금 더 살펴보면 Rice Wongtada and Leelakulthanit(1996)는 환경의식적인 소비자 행동이 미치는 자기 효능과 관련된 연구를 통해 개인의 친환경 지향적 행동들이 환경 보호와 문제 해결에 기여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소비자는 그렇지 않은 소비자보다 친환경 지향적 식품 구매 행동을 더 보였다고 밝혔다.
환경에 대한 자각이 소비에 미치는 영향
이외에도 환경에 대하여 소비자 효과성 지각이 친환경 식품 구매행동에도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언급하였는데 그는 소비자들 개인이 환경보호 및 환경문제 해결에 기여하고 있다고 지각하는 효과성 지각은 실제적으로 소비자들의 친환경 식품의 구매행동을 더욱더 추동시킬 수 있을 거라고 설명하였고 환경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불러온 소비패턴의 변화 환경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서 환경문제를 해결하고자 기존의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이 환경에 대한 태도와 관심이 실제 친환경 구매 행동 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는 선행요인이 어떤 것 인가를 밝히려는 노력이 이어져왔으며 일련의 연구들에서는 친환경 상품의 구매 사용 재활용품 사용행동 에너지 절약 행동 그리고 처분 행동 등과 같은 특정 행동에 초점을 둘 수 있고 대다수 연구에 의하면 환경의식 및 친환경 행동이 소비자의 환경상품 구매 및 구매의사에 주요 영향 요인임이 실증 분석되었다.
사회 심리학적인 변수의 영향
사회심리학적 변수와 인구통계학적 변수 모두를 고려하였을 때 환경 행동과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사회적 심리학적인 변수가 더 큰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친환경 행동의 가치가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한 Karp(1996)의 연구에서 가치가 환경 친화적 행동에 상당히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우리나라에서는 1980년대 중반 이후 환경문제와 관련된 소비자 연구가 시작되어 1990년대 이후 환경오염 문제의 심각성이 크게 부각되어 친환경 구매 행동에 관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졌고 대부분의 연구에서 환경 관련 소비자 행동을 구매 사용 처분의 관점에서 살핌으로써 친환경 행동 유형을 밝히고자 하였고 환경에 대한 정서와 행동 환경에 대한 정서와 행동을 친환경 제품 구매행동 처분 행동 사용행동 세 가지 차원의 종속변수와의 구조적 관계를 연구하였고 연구 결과 환경에 대하여 주관적 지식이 높을수록 친환경 구매 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환경에 대한 객관적인 지식이 높을수록 친환경 처분 행동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정(+)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또한 환경에 대하여 주관적 및 객관적인 지식은 환경에 대한 정서를 통해 사용 구매 그리고 처분 행동에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중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사회심리학적인 변수의 영향
중국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생태학적 지식과 문화적 가치가 친환경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는데 친환경적인 구매에 있어서 중국인들의 생태학적 지식과 실제적인 관여도는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일반적인 중국인들은 생태학적 감정과 환경 친화적인 구매행동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표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인구사회경제학적 변수(성별 거주환경 어머니의 직업 가계소득)와 환경정보 관련 변수(환경정보 관심도 환경교육 빈도) 그리고 어머니의 환경 친화적인 소비행동이 청소년의 환경 친화적 소비행동과 소비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고 연구 결과 남학 생보다 여학생이 어머니가 환경 친화적인 구매 행동을 보일수록 환경 친화적인 소비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또한 어머니가 환경 친화적인 처분 행동과 사용행동을 보일수록 청소년의 소비행동은 환경 친화적인 것으로 결과가 나타났고 거주 지역에 따라서 친환경 행동의 차이를 연구하였다.
대도시 거주자들의 특성
대도시에서 거주하고 있는 소비자들은 더 친환경적으로 행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거주 지역에 따라서 물리적인 환경이 다르고 환경오염의 심각도 정도가 다르며 대도시에 거주하고 있는 소비자들은 환경오염에 더 노출되어 있으므로 관심이 높기 때문이라고 하였고 소비자들의 친환경 구매 행동을 결정하는 변수를 환경지식 및 소비자 인식 효율성 및 환경에 대한 관심으로 설정했으며 이들 변수 간의 영향 관계에 대하여 연구하였고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환경지식은 친환경 행동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소비자 인식의 효율성과 환경에 대한 관심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식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CPE 방법을 이용한 식품첨가물의 분석 (0) | 2021.11.16 |
---|---|
식품 산업에서 나노 기술의 활용 (0) | 2021.11.16 |
환경의식에 관한 다양한 관점과 합의 (0) | 2021.11.16 |
가치의 변화가 소비자의 저녁 메뉴에 미치는 영향 (0) | 2021.11.15 |
친환경 소비에 대한 인식 변화 (0) | 2021.11.15 |